ML 02: Gradient Descent

Machine Learning by Andrew Ng, Coursera

Linear Regression with Multiple Variables

Mutiple Features

변수가 적을때는 Hypothesis 가 간단하다. 많으면 어떻게 될까? FeatureN+1 개라면,

http://bt22dr.wordpress.com

편의상 x_0 = 1 이라 두면, HypothesisZero-based indexn+1 벡터 hx 의 곱이다. 따라서 h(x) = h_t * x 로 표기할 수 있다. 이걸 Mutivariate linear regression 이라 부른다.

Gradient Descent for Multiple Variables

Cost function 은 다음과 같다. 변수의 subscript 는 j 번째 Feature 를, superscript 는 i 번째 데이터임을 말한다.

(http://bt22dr.wordpress.com/)


다음은 Gradient Descent 알고리즘을 구하는 정의다.

(http://bt22dr.wordpress.com/)


따라서

(http://bt22dr.wordpress.com/)

Feature Scaling

Feature 간 데이터 크기가 많이 차이가 나면, Gradient Descent 에서 등고선 간 간격이 좁으므로, Global optima 를 찾는데 오래걸릴 수 있다. 따라서 Feature 값을 m 으로 나누거나 -1 과 1 사이로 scaliing 할 수 있다. 거꾸로 말하면, Feature scaling 을 이용하면 Gradient descent 가 결과값을 더 빠르게 찾는다.

또한 Mean normalization 을 이용할 수 있는데, 모든 feature 에서 평균을 빼서, 평균을 0 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더 일반적인 방법은 mean normalization 을 하고, 거기에 max-min 또는 standard deviation 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Learning Rate

디버깅 팁 중 하나는, 우리가 작성한 Gradient descent 알고리즘이 매 interation 마다 줄어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http://spin.atomicobject.com)

그리고, 어느 지점에선가 converged 되는지 검사하기 위해 automatic convergence test 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이터레이션에서, 10^-3 보다 적게 줄어드는지 검사한다거나.

만약에 gradient descent 값이 증가하면, 더 작은 learning rate 를 사용해라. 그렇다고 너무 작은 값을 사용하면 gradient descent 가 느리게 수렴할 수 있다. learning rate 가 너무 크면, 심지어 수렴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learning rate0.001, 0.003, 0.01, 0.03, 0.1, 0.3, 1 처럼 작은 것부터 선택하되, 천천히 늘려가는 것이 좋다.

Polynomial Regression

집값을 예측하기 위해 두개의 feature, frontagedepth 가 있다고 하자. 두 값을 곱해 area 라는 새로운 feature 를 만들면, Hypothesis 가 간단해진다. 따라서 기존의 feature 를 이용 할 수 있는지도 잘 알아보는 게 좋다.

자 이제, 집 값(Housing prices) 을 예측하기 위해 Size(Area) 라는 feature 를 이용한다 하자. training set 이 다음과 같을때,

http://www.holehouse.org/mlclass


hypothesisquadratic 로 세우면 어느 지점부터는 예측된 값이 감소하므로 traning set 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cubic 다항식을 이용해 볼 수 있겠는데, featuresize 하나 뿐이므로, hypothesissize 를 이용한 삼차식이 되겠다.

http://www.holehouse.org/mlclass

이 경우 size 하나로 3개의 feature 를 만들었으니, scaling 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전에 앞서서 feature 가 두개인 hypothesis (quadratic) 은 말이 안된다고 했는데, 두개지만 square 모델을 사용하면 우리가 가진 training set 과 얼추 맞아 떨어지는 모델을 찾을 수 있다. 그림이 없어서 대충 식을 첨부하면,

h(x) = y0 + y1(size) + y2 * square(size)

여기서 y 는 강의에서 말하는 0(theta) 라 보면 된다.

Nomal Equation

gradient descent 는 반복하면서 특정 값에 수렴해 가는 알고리즘 이었지만 normal equation 은 그냥 J(0) 식을 풀어버려 값을 찾아낸다.

예를 들어서 J(0)0(theta) 에 대해 quadratic 이면, 0 에 대해 미분해서 최저점을 찾아내면 된다. 문제는, 0 가 여러개 일때, 모든 0_j 에 대해 cost function 을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partial derivative 를 이용해서 해를 찾으면 된다.

(http://www.longhaiqiang.com/)


행렬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자세한 건 강의 내용을 보자, design matrix 라고 부르는 X 를 만들어서 아래의 식을 구하면 된다. 사실 X 는 그냥 feature 들을 있는 그대로 행렬로 만들면 된다. 맨 앞에 x0 만 추가해서.

(http://www.longhaiqiang.com/)

참고로, 저 식을 Octave 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pinv(X`*X)*X`*y


normal equation 을 이용할때는 feature scaling 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 gradient descent 와 비교해 보자면,

Gradient Descent:
(1) learning rate 를 골라야 한다. (2) feature scaling 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
(3) interation 을 해야하므로 알고리즘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체크해야할 필요가 있다.
(4) 대신 n 이 커도 잘 돌아간다.

Normal Equation:
(1) learning rate 를 고를 필요가 없다.
(2) feature scaling 을 해야할 필요가 없다.
(3) interation 을 하지 않는다.
(4) n 이 커질경우 굉장히 느려지고 (X^TX)^-1) 을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n 이 너무 크지 않으면, 100~1000 정도까지는, normal equation 을 쓰는편이 낫다.

Nomal Equation Noninvertibility

만약에, 우리가 가진 Xnon-invertible 하다면 어떻게 될까? invertible matrix 란, 아래를 만족시키는 B 가 존재하는 행렬이다. Iidentity matrix 다.

(http://en.wikipedia.org/wiki/Invertible_matrix)

만약 저런 B 가 존재하지 않아 non-invertible 한 행렬을 sigular matrix, degenerate matrix 라 부른다.

우리가 계산해야 할 행렬이 non-invertible 이라면,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1) Redundant features(linearly dependent) e.g x1 = (3.28) * x2
(2) too many features e.g m <= n

이럴 때는 몇몇 feature 를 삭제하고, regulaization 을 하면 된다.

Cost Function: Octave

cost function 을 구현 해 보면

function J = costFunctionJ(X, y, theta)

m = size(X, 1) % number of training examples
predictions= X * theta; % predictions of hypothesis on all m examples
sqrErros = (predictions-y).^2;

J = 1 / (2*m) * sum(sqrErros);

R 이나 이런것들은 행렬연산이 참 쉬운것 같다.

Vectorization

Vectorization 을 이용하면, for loop 을 제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건 행렬 곱셈이 한번에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따라서 gradient descent 알고리즘에서 thetafor-loop 으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 vectorization 을 이용하면 한번에 계산할 수 있다.

이게 그림을 구하기가 어려운데, 아래첨자(sub-script) 를 이렇게 기술한다고 하자. x_0 그럼, grandient descent 알고리즘 식에서 learning rate 뒷부분이 vector 가 되는데 그 이유는 theta 와 마찬가지로 j 에 대한 나열이기 때문이다.

구글에 검색하니까 1번으로 뜨는게 vectorization(parallel computing) 이더라. 병렬 연산에 많이 사용되나보다.

Refenrences

(1) StackExchange
(2) http://bt22dr.wordpress.com/
(3) http://spin.atomicobject.com
(4) http://www.holehouse.org/mlclass/
(5) http://www.longhaiqiang.com/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