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 Analysis

알고리즘을 분석해야 하는 이유는

(1) Predict performance
(2) Compare algorithms
(3) Provide guarantees
(4) Understand theoretical basis

그 중에서도 performance bug 를 피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통해 내 알고리즘이 practical large input 에 적용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것이, 알고리즘 분석의 주된 동기다.

Observations

주어진 배열에서 3개를 골라 더했을때 0이 나오는 3-Sum 문제를 고려해 보자.

for (int i = 0; i < N; i++)
  for(int j = i + 1; j < N; j++)
    for(int k = j + 1; k < N; k++) 
      if (array[i] + array[j] + array[k] == 0)
        count++;        

입력 대비 출력 시간을 log-log plot 으로 만들어, y = a * N^b 를 얻을 수 있다. 이것 보다 더 빠르게 찾는 방법은 input 을 두배씩 늘려가면서 로그 비율을 찾는 방법인데, Doubling hypothesis 라 부른다. 이 경우 b 가 3이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다.

샘플 데이터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Matlab format)

x = [
1000;
2000;
4000;
8000;
16000;
32000;
64000]

y = [
0.0;
0.0;
0.1;
0.3;
1.3;
5.1;
20.5]

이 경우 수가 클때, 4배씩 증가하므로 2-based log ratio2 다. 따라서 a * N^b 에서 b 를 2로 가정하면, 5.1 / 32000^2 하면, 대략 5.0 * 10^-9

Mathematical Models

사실 Running time 에 있어서 연산의 수행 시간은 컴퓨터마다, 또 연산마다 다르므로 이것을 제하고 operation number, frequency 의 곱을 input number N 을 이용하여 표현한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Sum 코드의 경우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N; i++)
  if (array[i] == 0)
    count++;

variable declaration = 2
assignment = 2
less then compare = N + 1
equal to compare = N
array access = N
increment = N to 2N

2-Sum 코드의 경우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N; i++)
  for(int j = i + 1; j < N; j++)
    if (array[i] + array[j] == 0)
      count++;

variable declaration = 2 + N assignment = 2 + N less then compare = 12 * (N + 1) * (N + 2)
equal to compare = 12 * N * (N - 1)
array access = N * (N - 1)
increment = 12 * N * (N - 1) to N * (N - 1)

세 보면 알겠지만 정말 귀찮다. 세야할 연산의 종류도 많고. 그렇기 때문에, running-time 을 간단히 추정하기 위해

(1) Use some basic operation as a proxy for running time
(2) tilde notation: ignore lower order terms

따라서 2-Sum 의 경우 유효한 연산을 배열 접근으로 잡으면, 연산 회수는 ~N^2 이고 3-Sum~ 1/6 * N^3 이다.

discrete sum 을 편하게 계산하는 법이 있는데, 시그마를 적분으로 바꿔, 계산하면 된다. 따라서 1 + 2 + ... + N1/2 * N, 1 + 1/2 + 1/3 + ... + 1/Nln N,

3-Sumtriple loopN * 1/2 N* 1/3 N 이므로, ~1/6 N 이다. 여기에 3번의 Array Access 가 일어나므로 곱하면 3-Sum~1/2 N이다.

int sum = 0;
for (int i = 0; i < N; i++)
  for (int j = i; j < N; j++)
    for (int k = 1; k < N; k = k * 2)
      if (a[i] + a[j] >= a[k]) sum++;

모든 triple loop~n^3 을 가지는건 아니다. 위의 코드의 경우 ~ 1/2 N^2 * 3 lg N 이다.

Order of Growth Classification

1 < lg N < N < N lg N < N^2 < N^3 < 2^N 우측으로 갈 수록 알고리즘의 성능이 나쁘다. 일반적으로는 N lg N 이 쓸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좀 더 알아보자면,

log N: N 이 절반으로 나누어지는 binary search
N log N:, divide and conquer: merge sort
2^N: 서브트리를 모두 검사하는 exhaustive search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T(2N) / T(N) 을 구할 수 있는데,

(1) N2 (따라서 lg 2 = 1 이므로, N^1 이다.)
(2) N^24
(3) N^3 같은 경우 8 이다. (4) 2^NT(N) 이다.

잠깐 ~lg N 의 복잡도를 가지는 Binary Search 에 대해 이야기 해 보자.

이진트리에 대해 재밌는 사실이 하나 있다. 이진트리가 나온건 1946년인데, 놀랍게도 버그가 없는 버전은 1962년에 처음 나왔다. 그리고 자바의 Arrays.binarySerach() 도 2006년에 버그가 발견되었다. 아래의 코드에서 만약 arr[1] 을 넣고, key1 을 주면 어떻게 될지 한번 생각 해 보자.

public static int binarySearch(int[] arr, int key) {
  int low = 0, high = arr.length - 1;
  
  while (low <= high) {
    int mid = low + (high - low) / 2;
    
    if (key < arr[mid]) high = mid - 1; // 3-way compares
    else if (key > arr[mid]) low = mid + 1;
    else return mid
  }
  
  return -1;
}

binary search2-way compare 로 구현하면, 다시 말해 if-else 만 이용하면 1 + lg N 의 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이는 T(N) <= 1 + T(N/2) , T(N) <= 1 + 1 + T(N/4), … T(N) = 1 + 1 + ... + T(N/N) 이기 때문이다.

binary search1 + lg N 이라는 사실을 이용하면 3-SumN^2 lg N 으로 개선할 수 있다.

(1) sorting: N^2
(2) binary search for -(arr[i] + arr[j]) : N^2 log N

두번째 스탭에서 i, j 에 대해 이진탐색을 시도하므로 N^2 * log N 이다.

Theory of Algorithms

이제 Best case(lower bound on cost), Worst case(upper bound on cost), Average case(expected cost) 를 고려 해 보자

이를 위해 새로운 notation 을 도입할 수 있다. 교수님이 해주시는 설명을 솔직히 못 알아 듣겠다. 그냥 big theta, big omega, big oh 에 대해 구글링 해서 나오는 SO 답변 을 참조했다.

먼저 asymptotic 이란 말을 이해해야 하는데 한국어로 표현하면 점근적 정도가 된다. m 은 묵음

If an algorithm is of Θ(g(n)), it means that the running time of the algorithm as n (input size) gets larger is proportional to g(n).

If an algorithm is of O(g(n)), it means that the running time of the algorithm as n gets larger is at most proportional to g(n).

More technically, O(n) represents upper bound. Θ(n) means tight bound. Ω(n) represents lower bound.

우리가 어떤 알고리즘이 O(n) 이라고 할 때 O(n^2), 혹은 O(n^3) 이라고 말할 수 있다. upper bound 니까. 하지만 어떤 알고리즘(f(n)) 이 Θ(n) 일때, Θ(n^2) 이라 말할 순 없다. 그리고 Big-OhBig-theta 가 존재 해야 Big-omega 가 존재한다.

f(x) = Θ(g(x)) iff f(x) = O(g(x)) and f(x) = Ω(g(x))

이런 표기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다시 말해서 Theory of algorithm 의 목적은 optimal algorithm 을 찾는데 있다.

1-sum 을 예로 들어 보자. upper bound 는, 모든 원소를 찾는 것이다. 따라서 O(n). 적어도 모든 원소를 한번씩은 다 뒤져봐야 하므로, lower boundΩ(n) 이다. 따라서 두개가 constant factor 내에서 같으므로 Θ(n) 이다.

3-sum 을 고려해 보자. upper boundO(n^2 * lg n) 이다. lower bound 는 확실힌 모르겠지만 적어도 모든 원소를 한번씩은 훑어야 하므로 Ω(n) 다. 여기 보면 3-sumlower bound 에 관한 논의가 있다.

따라서 3-sum 에 대한 확실한 lower bound 를 모르므로, upper bound 와의 갭이 있고, 아직까진 optimal algorithm 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알고리즘을 디자인하는 접근 방법은,

(1) Develop an algorithm
(2) Prove a lower bound

그리하여, lower boundupper bound 사이의 갭이 있다면 lower bound 를 증가시키는 새로운 알고리즘이 여지가 있다. 그걸 찾아내면서 lower bound 를 올려가면 optimal algorithm 을 찾을 수 있다.

1970년대에는 upper bound 를 줄여왔지만,

(1) 너무 worst case 에만 집중헀고
(2) 이제 더 정확한 성능 측정을 위해서 to within a constant factor 보다 더 좋은 무언가가 필요하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Big oapproximate model of running time 으로 번역하는 실수를 저질렀는데, 이 수업에서는 Big o 대신 tilde(~) 를 사용하겠다.

If

Memory

자바에서는 다음과 같은 오버헤드가 있다.

(1) N 개의 1차원 배열을 만들때는 Type * N + 24 Bytes
(2) Object16 Bytes
(3) Reference8 Bytes
(4) 각 오브젝트는 8 Bytes 단위로 패딩된다.

String 은 조금 더 복잡한데,

오브젝트 오버헤드, char 배열 오버헤드(2N + 24)와 함께 offset, count, hashint 타입으로 가지므로 12 Bytes 와 패딩이 포함된다.

inner class 가 있다면 Object8 bytes 의 메모리가 더 필요하다.

public class WeightedQuickUnionUF {
  private int[] id;
  private int[] sz;
  private int count;
  
  ...
}

위 클래스를 인스턴스로 가지고 있을 경우엔 N 에 대해서

(1) 16 bytes object overhead
(2) 8 + (4N + 24) for each int[] array
(3) 4 bytes for count
(4) 4 bytes padding

따라서 8N + 88 이므로 ~8 N 이다.

Summary

Empirical analysis 은 실제로 프로그램을 돌려 성능을 얻은 다음 가설을 새워 예측하는 방법이다. 반면 Mathematical analysis 는 알고리즘을 분석해 연산 횟수에 기반한 모델을 새우는 방법이다.

Emplirical analysis model enables us to make predictions and necessary to validate mathematical models

Mathematical analysis model enables us to explain behavior and is independent of a particular system.



comments powered by Disqus